Programming/Spring

IoC 디자인 원칙과 스프링 프레임워크

먹보 개발자 2025. 1. 11. 03:17

IoC는 디자인 원칙이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IoC디자인 원칙을 따르고 있다. IoC 원칙을 구현하기 위해 스프링은 *IoC컨테이너를 제공하고 이 컨테이너의 핵심 인터페이스는 BeanFactory이다.

*(IoC컨테이너는 실제 구현되어있는 클래스나 인터페이스가 아닌 개념에 가깝다. IoC컨테이너를 제공한다는것은 IoC컨테이너라는 개념을 구현한 실제 인터페이스와 구현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IoC 컨테이너에는 BeanFactory라는 인터페이스가 있다. IoC 원칙을 적용해서 객체 생성, 의존성 주입, 빈 생명주기 관리 등을 수행한다. 가장 기본적인 스프링 IoC컨테이너이자, 경량 컨테이너이다. 이 인터페이스의 대표적인 구현체로는 DefaultListableBeanFactory가 있다.

다음으로는 BeanFactory를 확장시킨 ApplicationContext라는 인터페이스가 있다. BeanFactory의 모든 기능과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대부분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한다. 이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로는 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 FileSystemXmlApplicationContext,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WebApplicationContext등이 있다.

 

'Programming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시성 제어란  (0) 2025.01.02
이메일 인증 구현하기  (0) 2024.12.31
EntityFinder에 대한 고찰  (0) 2024.12.24
ResponseDTO의 목적  (1) 2024.12.07
빈(Bean)이 뭔데?  (1) 2024.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