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Book)/핵심 데이터 모델링 13

4. 물리모델링 - a. 물리 모델링이란

물리 모델링은 논리 데이터 모델을 데이터베이스 종류에 맞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스키마 구조로 변환하는 과정이다.엔티티 및 서브타입을 테이블로 변환.속성을 컬럼으로 변환(데이터 타입 및 길이 지정)관계 및 무결성 설계.데이터 베이스 성능 향상을 위해 엔티티 반 정규화 or 중복 컬럼 추가하여 설계

3. 논리 모델링 - a. 논리 모델링이란

논리 모델링이란논리 모델링은 비즈니스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과정이다.비즈니스 전체 영역에 대한 상세한 수준의 데이터 구조를 설계한다. 데이터 주제 영역 단위로 데이터 모델링을 진행하여 데이터에 관한 업무 특성을 모두 반영함.핵심 엔티티를 중심으로 업무에 필요한 하위 엔티티로 확장하면서 엔티티를 상세화 함엔티티를 정의하고 관계를 명확히 하되, DBMS의 물리적인 특성까지 고려할 필요는 없음.

3. 논리 모델링 - c. 관계 도출 및 정의

관계는 엔티티와 엔티티 간의 관계를 말한다.관계(Relationship)는 부모와 자식 엔티티 간의 종속 관계와 주체나 대상이 되는 엔티티를 참조하는 참조 관계 로 나눌 수 있음종속 관계는 업무 내에서 중요 엔티티와 상세나 내역 등 행위 엔티티 간에 자주 나타나며, 부모 엔티티의 식별 자를 주 식별자로 상속받음(식별 관계)참조 관계는 핵심 엔티티와 중요 엔티티, 중요 엔티티와 중요 엔티티 간의 관계에 해당하며, 참조되는 엔티티의 주 식별자를 일반 속성으로 상속받음(비식별 관계) 관계 도출관계를 업무 행위의 성격에 따라 행위의 주체, 대상, 상세, 인과, 역할/자격, 구성, 참조 관계 등으로 구분현행 모델을 리버스 한 경우 주체나 대상에 해당하는 속성 등을 파악하여 관계를 도출     관계 정의엔티티 간의..

3. 논리 모델링 - b. 엔티티 정의 및 상세화

엔티티를 생성관점에 따라 핵심 엔티티(Key Entity), 중요 엔티티(Main Entity), 행위 엔티티(Action Entity)로 세분화 할 수 있다. 핵심 엔티티: 업무 행위의 주체, 대상. - ex) 고객, 상품중요 엔티티: 업무 주체와 대상 간의 거래나 업무 행위에 의해 발생. - ex) 계약, 배송행위 엔티티: 업무 행위에 대한 상세내역 및 업무 결과에 대한 상태. - ex) 결제내역  ※ 핵심 엔티티업무처리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이미 정의한 엔티티거나, 업무를 위해 미리 정의한 엔티티데이터 모델링 과정에서 가장 먼저 분석해야할 대상모든 업무 행위는 핵심 엔티티에 의해 정의되거나 핵심 엔티티 간의 관계에 의해 정의된다고 볼 수 있음 핵심 엔티티를 데이터 성격에 따라 나누면 다음과 같이 나..

2. 개념 모델링 - b. 개념 모델링

개념 모델링은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수립한 방향성에 맞게 전체적인 관점에서 개략적인 데이터 모델을 제시하는 단계이다. 모델링 대상인 업무영역(Business Domain)에 대해 전반적인 구조를 제시하고, 상위 수준의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는 과정이다.  개념 모델링 절차주제영역 도출 → 주제영역 분류 및 정의 → 핵심 엔티티 정의 및 관계 정의 데이터 주제영역주제영역은 기업이나 기관이 관리하는 데이터를 일관된 기준을 가지고 최상위 단계에서 분류한 데이터 집합이다. 주제영역 도출주제영역은 업무에서 흔하게 사용하는 용어, 또는 업무지침서의 목차, 기업의 조직 및 팀 구성 등의 자료를 통 해 얻을 수 있고, 현행 시스템의 주제영역이나 테이블을 참고하여 파악할 수 있다 주제영역 분류주제영역은 수평적인 측면에서 ..

2. 개념 모델링 - a. 데이터 모델링 접근 방법

데이터 모델링은 데이터 아키텍처 내에서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 활동임 데이터 모델링은 ㅍ로젝트 상황에 따라 하향식 접근 방식이나 상향식 접근방식을 선택하거나 적절히 섞어서 진행할 수 있다. 하향식은 전체 데이터를 큰 개념으로 분할하고 업무 담당자별로 단위 개념을 식별하면서 정의해 나가는 방식으로 개념모델링, 논리 모델링, 물 설계 순으로 상세화 하면서 진행된다.일반적으로 프로젝트 규모가 크고 업무 영역별로 현업 또는 전산담당자가 있어 업무지원이 원활한 경우에는 Top-Down 방식으로 접근하느 ㄴ편이다. 상향식 접근은 업무 단위의 프로젝트 등 규모가 비교적 작거나 현업의 참여가 한정된 경우 기존 ERD, 보고서, 메뉴얼, 업무 지침서 등을 통해 관리해야할 데이터 항목을 조사한 후 이를 근거로 하여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