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Book)/핵심 데이터 모델링 13

1. 데이터 모델링 이론 - c. 관계형 모델 이론

※ 관계형 데이터 모델이란관계형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를 2차원 테이블(표) 형식으로 정의하고 표현한 모델이다. 이러한 테이블 형태를 릴레이션(Relation)이라고 한다.릴레이션은 두 개 이상의 그룹(집합)에서 각각의 요소들을 짝지어 연결한 것들의 모음을 의미한다.릴레이션 스키마는 릴레이션명과 어트리뷰트를 포함하고 튜플은 릴레이션 인스턴스에 해당한다. 어트리뷰트(Attribute):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 열튜플(Tuples): 릴레이션의 각 행, 인스턴스 데이터릴레이션의 튜플은 모두 다른 값을 가지며 중복된 튜플을 허용하지 않는다.튜플은 순서와 무관하며 순서가 특별한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어트리뷰트는 더 쪼갤 수 없는 원자값으로 구성되며, 튜플 순서처럼 어트리뷰트 순서도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어트리뷰트..

1. 데이터 모델링 이론 - b. ER 모델 구성 요소

ER 모델 구성 요소ER모델의 구성요소로는 엔티티, 관계, 속성이 있고 속성과 관계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식별자를 포함한다. ※ 엔티티 (Entity)엔티티는 실제로 존재하거나 개념적인것이다. 즉 업무를 구현하는데 필요하고 관리해야하는 주체, 대상, 행위등의 모든 집합적인 것(Thing)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엔티티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스턴스가 존재할 수 있어야 하고,? 최소한 둘 이상의 속성이 있어야하며, 반드시 각 인스턴스를 식별 할 수 있는 속성이나 관계가 하나이상 정의되어야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얘기하는 엔티티는 정확히 엔티티 타입이다. 엔티티는 엔티티 타입의 실체(인스턴스)에 해당한다.엔티티는 슈퍼타입 엔티티나 서브타입 엔티티로 확장할 수 있다.슈퍼타입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서브..

1. 데이터 모델링 이론 - a. 데이터 모델링 이란

데이터 모델현실세계의 정보나 데이터를 시스템으로 구축하기 위해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모형. 데이터 모델링영속성을 갖는 데이터에 대한 시스템 구조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형상화하는 과정 식별하는 과정(개념적) → 추상화하여 표현(논리적) → 구체화된 형태로 변환(물리적) 데이터 모델에는 개체 관계 모델, 관계모델, 계층 모델, 망 모델 등이 있다.  ER모델이 가장 대표적인 모델이다. ER 모델 (Entity - Relationship Model)ER모델은 표현하고자 하는 현실 세계의 업무를 개체와 관계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표현하는 모델이다.ER모델은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를 ER표기법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이 표기법은 규약인 동시에 언어이며 모델러와 현업 담당자 간의 의사소통이므로 잘 알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