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Book)/핵심 데이터 모델링

2. 개념 모델링 - a. 데이터 모델링 접근 방법

먹보 개발자 2024. 11. 6. 11:56

데이터 모델링은 데이터 아키텍처 내에서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 활동임

 

데이터 모델링은 ㅍ로젝트 상황에 따라 하향식 접근 방식이나 상향식 접근방식을 선택하거나 적절히 섞어서 진행할 수 있다.

 

하향식은 전체 데이터를 큰 개념으로 분할하고 업무 담당자별로 단위 개념을 식별하면서 정의해 나가는 방식으로 개념모델링, 논리 모델링, 물 설계 순으로 상세화 하면서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규모가 크고 업무 영역별로 현업 또는 전산담당자가 있어 업무지원이 원활한 경우에는 Top-Down 방식으로 접근하느 ㄴ편이다.

 

상향식 접근은 업무 단위의 프로젝트 등 규모가 비교적 작거나 현업의 참여가 한정된 경우 기존 ERD, 보고서, 메뉴얼, 업무 지침서 등을 통해 관리해야할 데이터 항목을 조사한 후 이를 근거로 하여 데이터 모델링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도 모델링 과정을 정기적으로 현업을 퓨ㅗ함한 업무 관련자와 공유하면서 진행해야 나중에 의견차나 설계 변경을 줄일 수 있다.

데이터 모델링 절차

 

현행 데이터의 문제점을 파악하거나 목표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데이터 모델링을 진행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현업과 협업, 리버스 모델 활용, 문서나 산출물을 활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현업과 협업: 현업 담당자와 협업을 통해 모델링을 진행하는 방법은 현업이 모델링 과정을 전폭적으로 지원하므로 가장 좋은 접근 방법이다.

 

문서를 통한 업무 요건 파악: 문서를 통해 데이터 요건을 수집하는 경우도 있는데 업무 지침서, 과거 프로젝트 구축 산출물, 업무(시스템) 메뉴얼 등 관련된 문서를 통해 업무나 데이터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리버스 모델 활용: 현행 ERD가 없거나 현행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현행 시스템 DB메타정보를 이요하여, 엔티티 및 속성을 도출하고 관계를 식별하여 ERD를 작성할 수 있는데, 이처럼 데이터 모델을 현행화 하는 과정을 리버스 모델링이라고 한다.

리버스 모델링은 데이터 모델링 과정에서 아주 중요한 작업이며 논리 모델링을 진행하기 전에 더 상세히 작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리버스 모델은 말 그대로 현행 데이터 모델을 역공학을 이용하여 생성한 모델이다. 

 

 

======

현행 분석

1. 현행 업무 분석

  • 현행 업무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습득
  • 업무를 파악
  • 업무 특성이나 흐름 파악
  •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도출

2. 현행 데이터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