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용어
main: 깃의 기본 브랜치(예전에는 master)
origin: 깃의 기본 원격 브랜치 별칭
HEAD: 현재 작업 브랜치의 위치
- 설정 명령
git config [설정키] [설정값] : 해당 깃 저장소의 설정
git config user.name fastcamedu
git config user.email fastcamedu@gmail.com
git config --global [설정키] [설정값]: 모든 깃 저장소에 해당하는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fastcamedu
git config --global user.email fastcamedus@gmail.com
- 버전관리 명령
git init: 깃 저장소 생성
git help [명령어]: 명령어 도움말 보기
git status: 깃 버전 관리 상태 확인(작업 디렉토리)
git add: 버전 관리 파일 준비
git add<파일명>...: 특정 파일을 버전 관리 준비(스테이징 영역)
git add .: 해당 폴더의 모든 파일에 대해 버전 관리 준비(스테이징 영역)
- 버전관리 되돌리기 명령
git reset HEAD^: 마지막 커밋을 스테이징 하기 전 상태로 작업 트리를 되돌리기
git revert HEAD: 마지막 커밋을 되돌리면서 커밋 만들기 (최근 커밋의 반대)
- 브랜치 관련 명령
git branch: 로컬 브랜치 보기
git branch [브랜치명]: 로컬 브랜치 만들기
git branch -d [브랜치명]: 해당 브랜치 삭제하기(머지하지 않으면 내용 지워짐)
git checkout [브랜치명]: 브랜치를 체크아웃하기(작업 영역 변경)
git checkout -b [브랜치명]: 브랜치를 만들면서 체크아웃하기
git merge [브랜치명]: 해당 브랜치를 현재 브랜치에 머지하기
+
pwd: 현재 경로 보기
ls: 디렉토리 내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 보기
ls -l: 더 자세히 보기
ls -a: 숨겨진 파일까지 보기
touch: 새 파일 생성
touch filename.txt
touch file1.txt file2.txt file3.txt
clear: 로그 초기화
브랜치 이름이 master로 되어있는데 main으로 바꾸고 싶다면
git branch -m master main
cat: 파일 내용 확인
cat sample.txt
git log --pretty=oneline: 로그를 한줄로 출력하기
*git초기세팅은 아무 위치에서 해도 상관없음.
함께 참고할 블로그
[Git / Github] 깃의 스테이징 영역과 상태 정리 (add, commit, push의 상태 대하여)
깃의 3가지 영역과 3가지 상태 깃에는 Untracked area, Tracked area, Staging area 3가지 영역이 존재한다. 이 중 Tracked area에는 Staged, Modified, Unmodified 3 가지 상태가 존재한다. 3가지 영역 Untracked area : Git이 관
ittrue.tistory.com
https://stricky.tistory.com/135
[linux] vi/vim 명령어 총 정리 끝판왕!!
#[linux] vi/vim 명령어 총 정리 끝판왕!! 안녕하세요. 리눅스에서 vi/vim을 사용하시는데 많이 불편하신가요? 옆 사람은 너무나 능숙하게 사용하는데.. 난 왜 이렇게 어렵기만한지..ㅎㅎ 여기 있는 기
stricky.tistory.com
'데브옵스(DevOps)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 Github이란 무엇인가 (2) | 2024.09.24 |
---|---|
GIT - 실무 브랜치 전략 (0) | 2024.09.24 |
GIT - 고급 명령어 (2) | 2024.09.24 |
GIT - 버전관리 (0) | 2024.09.23 |
Git과 Github는 무엇인가? (0) | 2023.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