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브옵스(DevOps)/GIT

GIT - 고급 명령어

먹보 개발자 2024. 9. 24. 14:42

-충돌해결 방법

서로 다른 작업 공간에서같은 파일의 같은 라인을 변경하고, 머지(병합)하는 경우 발생

 

-충돌 발생

    2개의 브랜치 만들기

    2개의 브랜치에서 같은 라인 수정하기

    첫번째 브랜치를 메인 브랜치에 머지

    두번째 브랜치를 메인 브랜치에 머지 시도 -> 충돌

 

-충돌 해결하기

    충돌된 라인을 원하는 라인으로 수정

    add, commit

 

-원격 저장소 관련 명령

    git remote -v: 원격 저장소 보기

    git clone "원격저장소 주소": 원격 저장소를 로컬에 복제하기

    git remote add "원격저장소 별칭" "원격저장소 주소": 원격 저장소를 등록하기 

 

-원격 저장소 업데이트 명령

    git fetch: 원격 저장소 최신 내용을 받아오기(머지하지 않음, 직접 머지해야함)

    git pull: 원격 저장소 최신 내용 받아와서 머지하기 

    git pull [원격저장소] [원격브랜치]: 원격 저장소의 최신 내용을 받아와서 머지하기

    git push [원격저장소] [원격브랜치]: 원격 저장소로 내용을 밀어넣기

 

-추가 내용

    git rm --cached: 실수로 추가한 파일의 버전 관리 안하기

 

 


+

<<<<<<< HEAD: 현재 브랜치(main)의 내용

=======: 현재 브랜치와 병합하려는 브랜치 사이의 경계선

>>>>>>> feature-01: 병합하려는 브랜치(feature-01)의 내용

 

 

----HTTPS, SSH, GitHub CLI 차이 (GPT4o)----

GitHub에서 저장소를 클론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인 HTTPS, SSH, GitHub CLI에는 각각 장단점과 차이가 있습니다. 각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HTTPS

  • 설명: HTTPS 방식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근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URL을 통해 저장소를 클론합니다.
  • 사용 방법:
  • 장점:
    • 설정이 간단하고, 모든 네트워크 환경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SH 키 설정 없이도 사용할 수 있어 초보자나 일회성 접근에 유리합니다.
    • 방화벽이나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도 문제가 적습니다.
  • 단점:
    • 저장소에 변경 사항을 푸시할 때,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매번 입력해야 합니다. (두 단계 인증을 사용하는 경우, Personal Access Token이 필요함)
    • 보안 측면에서 SSH보다 낮은 편입니다.

2. SSH

  • 설명: SSH(Secure Shell)는 암호화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 서버와 안전하게 통신합니다. SSH 키를 생성하여 GitHub에 등록한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사용 방법:
     
    git clone git@github.com:username/repository.git
  • 장점:
    • 보안이 뛰어납니다. SSH 키를 사용하여 인증하기 때문에, 매번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습니다.
    • 한 번 설정하면 저장소에 변경 사항을 푸시(push)하거나, 풀(pull)할 때도 별도의 인증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여러 저장소에서 동일한 SSH 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초기에 SSH 키를 생성하고 GitHub 계정에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SSH가 차단된 경우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GitHub CLI

  • 설명: GitHub CLI는 GitHub에서 제공하는 명령줄 도구로, Git 명령어와 함께 GitHub의 다양한 기능을 터미널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gh 명령어를 사용하여 저장소를 클론합니다.
  • 사용 방법:
     
    gh repo clone username/repository
  • 장점:
    • GitHub의 이슈, 풀 리퀘스트, 릴리즈 등 다양한 GitHub 기능을 CLI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Git 명령어 외에도 GitHub의 다양한 기능을 명령어로 실행할 수 있어 개발 및 관리 작업에 편리합니다.
    • GitHub CLI를 사용하면 인증 과정을 한 번만 거치고 이후 자동으로 인증이 처리됩니다.
  • 단점:
    • GitHub CLI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며, CLI 명령어를 익혀야 합니다.
    • SSH나 HTTPS에 비해 일반 Git 사용법과 다소 차이가 있어 학습이 필요합니다.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할까?

  • 초보자: HTTPS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며, GitHub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는 경우 SSH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개발자: SSH 방식이 보안적이고 편리합니다. 설정이 조금 더 복잡하지만, 한 번 설정 후에는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GitHub와의 통합 작업이 많을 경우: GitHub CLI를 사용하면 GitHub의 다양한 기능을 터미널에서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데브옵스(DevOps)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 Github이란 무엇인가  (2) 2024.09.24
GIT - 실무 브랜치 전략  (0) 2024.09.24
GIT - 기본 명령어  (0) 2024.09.23
GIT - 버전관리  (0) 2024.09.23
Git과 Github는 무엇인가?  (0) 2023.06.05